기독교종합편성tv신문 박미쉘 기자/미국특파원 | 미국 오리건주 교도소 수감자들이 만든 의류 브랜드 ‘프리즌 블루스(Prison Blues)’가 뛰어난 내구성과 교정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주목받고 있다. ‘감옥에서 만든 옷’이라는 낯선 출발이 오히려 진정성과 스토리로 소비자들을 끌어당기고 있다.
수감자들이 만든 진짜 작업복, ‘프리즌 블루스’
미국 오리건주 교정국이 1989년 시작한 의류 브랜드 ‘Prison Blues’는 단순한 수형자 노동이 아닌, 기술 습득과 재활을 목표로 한 교정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작됐다. 청바지, 셔츠, 재킷 등 내구성이 뛰어난 워크웨어를 제작하며, 수감자들이 직접 봉제부터 마감까지 전 과정에 참여한다.
자발적 참여, 기술교육, 출소 후 재범률 ‘절반 수준’
해당 프로그램은 단순 노동을 강제하지 않는다. 수감자들은 면접을 거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전문 기술교육과 직업훈련을 받고 소정의 급여도 지급받는다. 프로그램을 이수한 이들의 출소 후 재범률은 일반 평균보다 절반 가까이 낮다는 점에서 교정 효과도 뚜렷하다는 평가다.
“질기고 오래간다”… 현장 노동자들 호평
Prison Blues의 제품은 단순한 교도소 유니폼이 아니다. 건설 현장, 벌목 작업, 농장 등 실제 작업 환경에서도 사용할 만큼 견고한 소재와 마감이 특징이다. 소비자 리뷰에서는 “일할 때 정말 편하다”, “몇 년을 입어도 해지지 않는다”는 긍정적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일본 시장서 ‘진짜 빈티지’로 각광
의외의 시장은 일본이다. 미국산 빈티지 워크웨어에 열광하는 일본 소비자들 사이에서, Prison Blues는 ‘스토리가 있는 진짜 작업복’으로 통하며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아마존, Correction Connection 등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일반 소비자들도 손쉽게 구매 가능하다.
교도소 안의 산업 생태계… 콜센터·목공·세탁까지
Prison Blues를 운영하는 Oregon Corrections Enterprises(OCE)는 교도소 내 산업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의류 제작 외에도 콜센터, 세탁, 프린팅, 목공, 용접 등 다양한 업무에 수감자들을 배치하고 있으며, 일부는 민간 기업과의 계약까지 성사됐다. 특히 콜센터 업무는 해외 아웃소싱보다 효율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감옥을 공장으로… 교도행정의 새로운 실험
단순한 교도소 노동이 아닌, 자립 기반을 마련하는 시스템으로 Prison Blues는 ‘감옥에서 만든 옷’이라는 낙인을 브랜드 가치로 승화시켰다. 교정의 현장을 진정성 있는 노동의 장으로 전환한 이 실험은 교정 행정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