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VNtv 기획특집9, 신앙의 발자취를 찾아서...]제3차 전도여행... 사데 교회, 아데미 신전과 비잔티움 시대 교회 유적, 사데의 역사적 흔적을 찾아서

"살아 있는 것 같으나 죽은 자로다"... 사데 교회에 내린 주님의 경고
흰 옷을 입은 소수의 의인들, 사데 교회의 신앙을 지키다

 

기독교종합편성tv신문 김효미 기자 | 사데 교회의 역사적 유적과 주님의 책망을 통해, 오늘날 한국교회의 현실과 교훈을 살펴본다. 화려함과 외형에 집중하는 현대 교회는 예수님의 본질적 가르침에서 멀어진 것이 아니냐는 경고가 울린다. 하지만 소수의 의인들이 여전히 그 믿음을 지키고 있어 희망이 남아 있다.

 

사데 교회의 역사와 유적지_기원전 334년부터 시작된 사데의 역사적 유적들
사데 유적지에는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명령으로 시작된 아데미 여신 신전이 존재한다. 이 신전은 완성되지 못했지만, 그 뒤편에 비잔티움 시대에 붉은 벽돌로 지어진 작은 교회 유적이 남아있다. 사데 유적 발굴은 20세기 초부터 미국 프린스턴 대학에서 시작되었고, 현재는 하버드 대학에서 지속하고 있다. 사데는 현재 터키의 살리리 또는 사르트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며, 유적지 옆으로 이즈미르와 연결된 도로가 지나간다.

 

 

사데 교회와 현대 한국교회의 유사점_외형은 번성했으나 실상은 죽은 교회
사데 교회는 당시 재정적으로 풍부하고 활동이 왕성했지만, 주님께서 “살아 있는 것 같으나 죽은 자로다”라는 경고를 하셨다. 이 교회는 겉으로는 성공적인 것처럼 보였으나 내적으로는 영적으로 죽어 있었던 것이다. 오늘날 한국의 많은 대형 교회들 역시 겉모습만 화려하고, 그 속은 비어 있는 모습을 보인다. 한국 교회들은 기독교의 본질보다는 다양한 사회봉사 활동이나 이벤트성 행사에 치중하고 있어, 신앙의 핵심을 잃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독교 인본주의 신앙의 위험성_기독교 본질에서 벗어난 현대 교회의 흐름
오늘날 한국 교회들은 기독교 합리주의, 윤리주의, 철학주의 등 인간 중심의 신앙을 강조하며, 본래의 성경 가르침에서 멀어지고 있다. 불우이웃 돕기, 탈북민 지원, 다문화 가정 돕기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활동들은 중요한 일일 수 있으나, 기독교의 본질적인 사명과는 다르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활동들은 그럴듯하게 보일 수 있으나, 깊이 살펴보면 진정한 신앙의 핵심과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사도 바울의 본을 따르지 않는 현대 교회_사도 바울이 기독교를 전파한 방법과 비교
사도 바울은 로마 제국을 기독교 국가로 변화시키기 위해 사회적인 활동이나 협회 직책에 얽매이지 않았다. 오직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의 감동을 전하는 데 집중하며, 로마 제국에 복음을 전파했다. 현대 한국 교회가 사도 바울의 방법을 본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화려한 봉사 활동보다 신앙의 본질에 충실한 교회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소수의 의인들, 그리고 한국 교회의 희망_주님께 칭찬받은 소수의 의인들, 오늘날에도 존재
사데 교회에서도 소수의 의인들이 있었고, 주님은 그들을 칭찬하셨다. 오늘날 한국 교회 역시 외형에 치중한 다수의 교회들 가운데, 이름없이 헌신하는 소수의 목회자들과 성도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들은 주님의 말씀에 충실하며, 하나님을 온전하게 섬기고 있다. 이들을 통해 한국 교회의 희망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데 교회와는 다른 면모도 보인다.

 

한국 교회의 미래와 과제_진정한 신앙 회복이 필요한 때
오늘날 한국 교회의 지도자들과 성도들은 사데 교회의 경고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주일 성수와 같은 기독교의 가장 기본적인 신앙을 강조하는 목회자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이제는 다시금 본질로 돌아가, 진실된 신앙 생활을 회복해야 할 때이다. 그렇게 할 때, 한국 교회는 다시금 부흥할 것이며, 대한민국도 하나님의 은혜 속에서 번영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