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원, 국제 종교 자유 결의안 발의… “북한, 종교를 실존적 위협으로 간주”

美 상원, 국제 종교 자유 결의안 발의… 외교정책의 핵심으로 규정
북한, 모든 종교를 체제 위협으로 간주… 강도 높은 비판 직면
美 국무부, 북한 포함 12개국 ‘종교 자유 특별우려국’ 지정… 강력 대응 촉구

기독교종합편성tv신문 류승우 기자 | 미국 상원이 종교 자유를 외교 정책의 핵심 요소로 규정하고, 북한을 비롯한 전 세계 종교 탄압 국가에 강력 대응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발의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모든 종교를 실존적 위협으로 간주한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국제 종교 자유 결의안 발의… 美 외교정책의 핵심 강조
미국 상원에서 국제 종교 자유 보호를 촉구하는 결의안이 공식 발의됐다.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공화당 제임스 랭크포드 상원의원이 지난 4일 해당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으며, 민주당 크리스 쿤스·팀 케인 의원, 공화당 탐 틸리스 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결의안은 종교 자유를 미국 외교 정책의 핵심 요소로 규정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종교 박해가 증가하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또한 종교 탄압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미국 정부에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北, 종교를 국가에 대한 실존적 위협으로 간주”
결의안은 북한 정권이 종교를 체제 유지를 위협하는 요소로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북한의 지배 이념인 ‘김일성-김정일 주의’가 종교와 상충하며, 이에 따라 북한 당국이 모든 종교 활동을 억압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 국무부는 앞서 발표한 ‘2023 국제 종교 자유 보고서’에서도 “북한에서는 종교의 자유가 전혀 보장되지 않으며, 종교 활동을 이유로 주민들이 극심한 탄압을 받고 있다”고 평가한 바 있다.

 

美 국무부, 북한 포함 12개국 ‘종교 자유 특별우려국’ 지정
미 국무부는 지난해 1월 북한을 비롯한 12개국을 ‘종교 자유 특별우려국’(CPC)으로 지정했다. 이 목록에는 중국, 쿠바, 에리트레아, 이란,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포함됐으며, 북한은 2001년 이후 23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미국 상원 결의안은 이와 관련해, 국무부가 ‘국제 종교 자유법’과 ‘글로벌 마그니츠키 인권법’을 적극 활용해 종교 탄압에 책임이 있는 개인과 단체에 대한 외교적 조치와 제재를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종교 자유는 기본적 인권이자 세계 평화의 초석”
이번 결의안은 종교 자유가 단순한 신앙의 문제가 아니라,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지지하고 세계 안정과 평화를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종교적 탄압과 폭력이 계속 발생하는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하며, 종교 자유를 억압하려는 모든 시도를 강력히 반대한다고 명시했다.

 

미국 의회와 정부가 이번 결의안을 계기로 북한을 비롯한 종교 탄압 국가들에 대한 압박을 더욱 강화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