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종합편성tv신문 류승우PD/기자 | 올해 베들레헴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지로 알려진 이곳에서 예년과는 다른 조용한 성탄절이 펼쳐지고 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의 격화된 전쟁 그림자 아래, 성탄 축제를 즐길 여건이 갖춰지지 않아 특별한 행사나 축제는 없이 조용한 분위기가 흐르고 있다. 통상 성탄절 기간 베들레헴에는 15만 명에 달하는 관광객이 찾아오는데, 그러나 올해는 성지인 '예수탄생교회' 내부 지하 동굴조차도 한산한 상황이다. 이 동굴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지점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소에는 성탄절 행사로 붐볐던 이곳이 올해는 고요함에 묻혀 있다. 베들레헴의 교회들은 지난 10월 이후 가자지구 주민들이 겪는 고통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갖기로 하였다. 가자지구에서는 개전 이후에만 1만7천 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며, 수천 명의 사람들이 건물 잔해에 묻히거나 실종된 상황이다. 가자지구 인구의 85% 이상이 피란길에 오른 상황에서 기본적인 물과 식량, 숙소를 찾기 어려운 인도적 위기가 계속 악화하고 있다. 현지 교회 관계자들은 "형제자매들이 죽어가는데 성탄절을 축하할 수는 없다"며 "그들은 슬픔에 잠겨 있고 우리는 이들과 함께해야
이스라엘 내각이 인질 석방을 위한 하마스와의 합의안에 동의하며 일시적인 휴전안을 승인했다. 22일 현지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내각은 카타르가 제안한 합의안을 토론을 거쳐 표결로 승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의안의 주요 내용은 이스라엘이 여성 및 어린이 등 약 50명의 인질을 석방하고, 팔레스타인은 여성 및 어린이 수감자 약 150명을 석방하는 것이다. 하레츠 언론은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합의에 따라 하마스가 5일 동안 30명의 어린이, 8명의 어머니, 12명의 여성을 석방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예루살렘포스트는 최대 80명이 석방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회의 전 합의안 승인이 어려운 결정이라면서도 "옳은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스라엘 내각을 통과한 합의안은 현재 카타르로 전달되고, 이후 공식 발표가 예상된다. 그러나 합의에 반대하는 이들이 24시간 이내에 이스라엘 대법원에 반대 청원할 수 있는 절차가 남아 있어 '즉각 석방'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알자지라는 합의 발표와 반대 청원 기간을 거친 후, 1단계 인질 석방이 23~24일쯤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계속해서 상황의 진전에 대한 주목이 이어질 전망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10. 10, 화) 오전 국무회의 마무리 발언을 통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사태와 국정감사 그리고 수사준칙 규정 개정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고 이도운 대변인의 서명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사태와 관련 “낙관은 금물”이라며, “정부가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민생경제와 국가안보의 측면에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대비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내각에 지시했다. 이어 대통령은 오늘부터 시작한 국정감사와 관련해서 국무위원들에게 “국민에게 설명한다는 마음으로 정부 정책을 알기 쉽게, 정확하게, 자신 있게 설명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대통령은 이번 국무회의에서 심의 의결된 ‘검사와 사법경찰관의 상호 협력과 일반적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 개정안’과 관련 “검·경은 오로지 국민만 생각하고 상호 협력 하에 국민의 안전과 신속한 권리 구제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두 기관이 국민 앞에서 서로 경쟁하지 말고, 각자의 장점을 살려 시너지 효과를 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